[여주=이준호 기자] 573돌 한글날을 맞아 ‘한글이야말로 애민정신과 평등교육, 과학, 문화, 예술까지 총망라된 인류 최고의 문자’임을 다시 한 번 고찰하는 학술대회가 지난 8일 여주시에서 개최됐다.

여주세종문화재단가 주관한 2019 한글날 학술대회 ‘위대한 유산 한글에서 사람중심 행복의 길을 묻다’는 이날 대회의 공동위원장인 이현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장의 ‘세종의 한글창제와 관련된 몇 문제’와 이준식 독립기념관 관장의 ‘한글운동의 역사적 의의’ 기조 강연으로 시작됐다.

이현희 원장은 백성을 위한 애민정신으로 언문 자모 28자를 학자들과 만든 세종이야기와 함께 정인, 신숙주, 성삼문 강희안에서 신미대사까지 한글창제와 얽힌 주변인들의 이야기를 풀어내며 ‘가갸거겨식’ 문자 이름을 ‘한글’로 작명하게 된 역사적인 배경도 설명했다.

최남선, 유근, 주시경 등이 활동했던 조선광문회 출입인사들이 공동으로 작명하지 않았을까 조심스럽게 의견을 낸 그는 왕릉 천장 당시 석물과 신도비 등은 옮기지 못했다며 세종대왕이 잠들어계신 여주시에 사는 시민들은 지금이라도 함께 오지 못한 세종대왕 신도비의 가치와 역사적 의의를 명확히 알아야 한다고 여운을 남기기도 했다.

이어서 두 번째 기조 강연자로 나선 이준식 독립기념관장은 한글운동의 역사적 의의에 설파하면서 주시경, 김두봉, 최현배 등 일제강점기 당시 치열하게 한글운동을 펼쳤던 한글학자들의 활동상을 설명했다.

그는 당시의 한글운동은 ‘말과 글은 겨레의 얼’이라는 생각으로 한글의 문법 체계를 만들고 조선어학회 활동을 통해 한글보급운동에 힘썼으나 일제에 의해 치안유지법의 누명을 쓰기도 했다며 그 노력이 지금의 ‘한글’을 있게 했다고 했다. 아울러 북으로 간 김두봉을 통해 남한과 북한이 오랜 분단 속에서도 소통을 유지하며 민족재통합이라는 명분도 찾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후 학술대회는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만주학센터 문현수 선임연구원의 사회로 한글창제분과, 근현대한글사용분과, 한국어교육분과, 한글과 지역문화분과, 여주발전방향분과 등 총 5분과로 나눠 심도 있는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이날 학술대회 개회식에 참석한 이항진 여주시장은 “세종대왕님이 잠들어 계신 곳인 여주시에서 의미 있는 학술대회가 열려서 기쁘다”며 우리의 생각을 전하고 서로의 삶을 이해하는 의사소통에 꼭 필요한 문자를 만들어주신 세종대왕의 위대함을 늘 가슴에 새긴다고 전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글창제와 조선의 민본정치를 통해 본 훈민정음의 교육과 확산, 한글의 지방 보급과 백성의 참여, 일제의 민족말살정책과 주시경의 어문운동, 위당 정인보의 한글 인식, 한글의 세계화와 보급, 대중문화 속의 한글과 예술로까지 이어지는 한글 등 다양한 토론이 이어졌다.

특히 여강길 상임대표인 장주식 씨는 한글을 통해 시민들이 보편적 문화향유권을 누릴 수 있도록 ‘여주문화수당’ 시행 방안을 제시하는 등 한글도시로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한편 이날 학술대회와 연계해 지난 9월 2일부터 9월 27일까지 진행됐던 ‘2019 한글날 청소년 미술작품 공모전’ 시상식과 전시도 함께 열렸다.

저작권자 © 수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