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파업에 들어간 9일 지하철 파업 소식에 직장인들이 서둘러 지하철 개찰구로 들어가고 있다. 한편 9일과 10일 이틀간 지하철 경고 파업을 선언한 서울교통공사의 민주노총 산하 노조만 파업에 들어가고 한국노총 소속 조합원들은 파업에 불참했다.(사진=수도일보)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파업에 들어간 9일 지하철 파업 소식에 직장인들이 서둘러 지하철 개찰구로 들어가고 있다. 한편 9일과 10일 이틀간 지하철 경고 파업을 선언한 서울교통공사의 민주노총 산하 노조만 파업에 들어가고 한국노총 소속 조합원들은 파업에 불참했다.(사진=수도일보)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9일부터 1박 2일(10일 저녁 6시까지) 동안 경고 파업에 들어갔다. 노사의 쟁점인 인력 감축안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인력 감축 문제를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최종 결렬되면서 서울 지하철 운행이 첫 차부터 차질을 빚게 됐다.

서울교통공사 노조 연합교섭단은 사측과 실무교섭 중이던 8일 오후 9시 10분 결렬을 선언하고 9일부터 10일 주간근무까지 경고파업에 돌입했다. 양측은 이날 오후 3시 본교섭에 돌입하자마자 5분도 안 돼 정회에 들어간 후 본교섭은 재개되지 않았다. 제안을 다시 정리해 4시에 만나기로 했지만 실무진들간 물 밑 접촉만 하고 교섭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날 노조는 “사측의 제안이 일부 변화가 있었지만 인력 감축과 안전업무 외주화 입장을 철회하자 않았고, 정년퇴직 인력조차 채용 못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해 결국 결렬됐다”고 했다. 공사는 노조의 입장을 마지막까지 최대한 수용하려 했지만 최종적으로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공사는 올해 적자가 워낙 심해 경영정상화를 위해 인력 383명 감축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2200여명을 2026년까지 줄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만정적자 해소를 위해 인원 조정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이에 노조는 “적자 책임을 노동자에게 떠넘기냐” 안전문제로 인력감축은 안된다는 설명이다. 세부적으로 공사가 차량관리소 인력과 기지 구내 운전업무 등 안전관리 인원을 외주화하는 것은 시민의 안전을 외면하는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올해 하반기까지 추가로 771명의 인력을 채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파업 중에도 사측의 입장 변화가 나온다면 교섭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9일 오전 서울 지하철 파업에는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민주노총/조합원 수 1만146명)만 참여한다. 한국노총 소속의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통합노조/2742명)가 파업 불참을 결정했고, 올바른 노조(제3노조/MZ노조, 1915명)는 지난달 20일 파업에 동참하지 않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통합노조는 협상 결렬 이후 입장문을 내고 “노조 간의 이견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아 쟁의대책위원회를 열어 파업에 불참하기로 최종 결정했다”며 “연합교섭단에서 노사 협의에 참여해 최선의 합의안을 도출하겠다”고 전하며 “전 조합원들이 정상 업무에 최선을 다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9일 출근길 열차 운행률은 평소와 같이 유지됐다고 공사 관계자는 전하며 특히 오전 7시~10시 출근길에는 100% 운행이 가능하며, 퇴근시간대는 87%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지하철 운행 차질로 승객들의 불편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공사와 서울시는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꾸리고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출퇴근 시간대에 시내버스 집중배차 시간을 연장하고(1시간), 추가로 예비버스 등 566대를 투입해 지하철 혼잡 상황에 대비 버스 운행을 늘리는 등 적극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수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