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개최된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입장하고 있는 한덕수 본부장 / 보건복지부
지난 23일 개최된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입장하고 있는 한덕수 본부장 / 보건복지부

 

정부와 의료계의 강대강 대치가 일주일째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수련의들의 집단행동 이어 전임·개원의, 일부 교수들까지 이탈에 가담하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2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22일 10시 기준 복지부의 주요 94개 수련병원 점검 결과 소속 전공의의 약 78.5% 수준인 8천897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했으나 모두 수리되지 않았고, 소속 전공의의 69.4%인 7천863명이 근무지를 이탈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공의 공백을 메울 전임의와 임상강사 일부도 오는 3월에 병원과 계약을 갱신하지 않고 집단행동에 나설 준비를 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서울대 의대 교수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3일 "정부의 납득할 만한 조치가 없다면 전공의와 함께 행동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비대위에 따르면 서울 의대와 국립 의대 교수들은 병원 진료를 더 이상 하지 않고 학교 강의만 하는 '겸직 해제'를 논의하고 있다.

이미 전남지역의 한 대학병원은 전임의 14명 중 10여명이 근로 계약을 연장하지 않겠다고 병원 측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임상강사·전임의 및 예비 임상강사·전임의 일동'은 입장문을 통해 "의료 정책에 대한 진심 어린 제언이 모두 묵살되고, 국민들을 위협하는 세력으로 매도되는 현재의 상황에서는 의업을 이어갈 수 없다"고 밝힌바 있다.

대한의사협회도 오는 3월 3일 총궐기대회를 열고 조만간 전체 회원을 대상으로 집단행동 시점 등에 대해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의협에서 주축을 이루고 있는 개원의가 휴진에 들어갈 경우 동네병원이 문을 닫아 국민이 체감하는 의료 공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한편 정부는 지난 23일 보건의료 위기단계를 ‘경계’에서 ‘심각’ 단계로 상향 조정하고 한시적으로 비대면진료를 전면 허용했다.

 

저작권자 © 수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